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32)- '한글코드 표준화 논란'
1980년대 들어 컴퓨터 보급이 급속히 팽창하면서 앞만 보고 달려왔던 컴퓨터 산업 인프라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일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것이 수십여 종이 난립해 있던 한글코드나 키보드 자판 배열의 통일 등 컴퓨터 표준화 작업이었다. 컴퓨터 표준화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인 한글과 한자를 컴퓨터에 제대로 적용하려는 일단의 노력이기도 했다. 한글코드 통일은 기본적으로 키보드에서 한글을 입력하면, 모니터나 프린터에 그대로 출력돼 나오도록 하는 컴퓨터 부호처리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단순히 이것만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워드프로세서를 비롯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한글로 된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자료 검색이나 정렬시 가나다순 처리까지 지원하는 광범위한 것까지 포함되기 때문이다. 물론 정부 표준 한글코드가 처음 제정된 것은 74년 9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KIST에서 만든 이 코드는 초·중·종성의 값을 7비트로 규정하는 '7비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