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국내외 AI·디지털 시장 전망과 산업별 주요 DX이슈' 보고서 발간

'2026년 국내외 AI·디지털 시장 전망과 산업별 주요 DX이슈' 보고서 발간

KRG

KRG가 2026년 국내외 AI 및 디지털 시장을 전망한 ‘2026년 국내외 AI·디지털 시장 전망과 산업별 주요 DX 이슈’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AI 및 디지털 전문 시장조사기관 KRG(날리지리서치그룹)가 발간한 ‘2026년 국내외AI·디지털 시장 전망과 산업별 주요 DX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2026년 국내 기업용 ICT 시장(개인용 IT 및 통신장비 시장 제외)은 경기 회복과 AI 투자를 강력한 동력으로 삼아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1. 2026년 국내 ICT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KRG는 2026년 국내 기업용 ICT 시장 규모를 2025년 40조 8,500억 원 대비 3.3% 성장42조 1,000억 원으로 예측했습니다. 2025년 시장 성장률이 경기 불황의 여파로 2.4%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2026년에는 전반적인 경기 회복 분위기와 함께 인공지능(AI) 투자가 시장 성장의 핵심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특히,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대가 두드러지면서 데이터센터 시스템이 핵심 성장 동력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AI 투자, 클라우드 시장 확장, 그리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DX) 가속화에 따른 디지털 비즈니스 구축 수요가 IT 서비스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2026년 국내 디지털 시장의 주요 이슈

2026년 국내 디지털 시장은 AI의 본격적인 활용 극대화를 중심으로 기술적 진화와 산업별 적용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AI 시장 성장 및 기술 진화

AI 분야는 AI 투자 확대, 산업별 AI 전환 가속화에 힘입어 국내 AI 시장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6조 4,19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AI 모델 진화와 자동화: AI 모델은 LLM(거대언어모델)에서 LMM(멀티모달 모델)을 거쳐LAM(액션/에이전트 모델)으로 전환되며 업무 자동화가 본격화됩니다.

- 피지컬 AI 확대: 제조 및 물류 업종에서는AI 에이전트가 로보틱스와 결합된 피지컬 AI(Physical AI) 관련 파일럿 프로젝트가 확대될 것입니다.

- 전략적 이슈: 소버린 AI(Sovereign AI) 중심 전환, AI 인프라 및 자산 확보에 대한 투자가 주요 전략 이슈로 부상합니다.

●  인프라 및 SW 분야 이슈

- 클라우드/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멀티클라우드 도입 심화, 소버린 클라우드 구축 등이 주요 이슈로 떠오를 것입니다.

- SW 분야: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수요 확대가 SW 시장 성장의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긍정적인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시장을 이끌어 갈 AI 전문인력의 부재디지털 투자 대비 ROI(투자 수익률) 불확실성은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주요 네거티브 이슈로 존재합니다.

3. 산업별 주요 디지털 전환(DX) 이슈

2026년에는 주요 산업별로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구체적인 DX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 제조업: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더불어 공정 자동화, 불량품 식별, 지능형 로봇 도입, 시뮬레이션 및 예지 보수 등의 지능화 활동이 활발할 것입니다.
  • 공공 및 SoC(사회간접자본): 무인 민원처리 시스템, 문서 자동화, 지능형 국방시스템 구축 등이 주요 이슈로 주목됩니다.
  • 금융 분야: 이상거래 탐지(FDS) 등 리스크 관리 및 보안 강화가 최우선 과제이며, 고객 경험 및 서비스의 초개인화, 내부 업무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 등이 주요 디지털 이슈입니다.
  • 유통/물류 업종: 수요 예측 및 재고관리 고도화, 라스트 마일 및 경로 최적화, 물류센터 및 창고의 자동화 혁신 등이 중점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6년 국내외AI·디지털 시장 전망과 산업별 주요 DX이슈' 보고서 구입하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Shop 상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