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ICT 시장 통계 및 각종 디지털 관련 통계 자료를 제공합니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는 물론 AI, 메타버스, 로봇 등 빅테크 시장 관련 각종 데이터를 짤막한 표와 그림은 물론 요약 설명도 첨부합니다
최근 가장 큰 화두는 역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다. Digital Transformation, 약칭으로 DT 또는 DX라는 약어를 사용한다. 특히 코로나 팬더믹 이후 전 산업에 걸쳐서 DX 추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시장 역시 크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Markets & Marktes에 따르면 글로벌 DX 시장은 2020년 4,698억달러에서 매년 16.5%씩 성장해
국내 기업들의 연간 IT(HW 및 SW, IT아웃소싱 비용 등) 지출액은 규모별로 큰 편차를 보인다. KRG 조사에 따르면 연 매출액이 '1조 이상'인 기업들의 경우 연간 IT부문에 360억원에서 380억원을 지출하고 있는데, '매출 5천억원에서 1조원' 이내 기업들의 경우는 28억원에서 35억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IT공급업체들이 대기업 시장에 초점을 두는 이유가 바로 이때문이다.
올해는 전반적으로 경기 불황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세계 경제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간 패권경쟁과 장기화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 등 여러 조건들이 불리하다. 게다가 고금리와 이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여파로 소비심리도 위축되는 형국이다. 그럼에도 또 한편으로는 멈출 수 없는 게 있다. 코로나 팬더믹 상황이란 전무후무한 상황을 경험하면서 디지털로 재무장하지 않고는
시장조사기관 Gartner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ICT 시장은 2022년 대비 5.5% 성장한 4조6,436억달러로 전망된다. 코로나 팬더믹 이후 시장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엔터프라이즈 SW 시장이 12.3% 성장세를 보이면서 전체 성장을 주도할 전망인데, 특히 클라우드 도입과 기업내 AI 혁신 바람에 힘입어 SW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에듀테크(Edutech)는 AI 등 최신의 디지털 기술과 교육을 접목시킨다는 의미로 기존 교육에 첨단 IT기술을 적용해 교육 혁신을 꾀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교육이 활발해지면서 국내외에서 에듀테크 시장이 급 부상하고 있다. 특히 사교육 영역에서 기존의 교육 업체들은 물론 신규 에듀테크 스타트업들이 잇따라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면서 시장은 빠르게 성장중이다.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최근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의 국내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을 발표했다. AWS가 60%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시장을 과점하는 가운데, MS와 네이버가 힘겹게 추격중이다. AWS는 지난 2019년 77.9%라는 놀라운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단연 시장 선두자리를 지켰지만 2020년 70.0%, 2021년 62.1%로 점유율이 낮아졌다. 불과 3년사이에 점유율이 15% 이상 빠진
2023년 기업용 ICT 시장(개인용 시장 및 통신장비 시장 제외)은 전년대비 6.6% 성장한 39조1,910억원으로 전망된다. 2023년 시장은 AI고도화, 클라우드 구축, 데이터 센터 설립 붐 등 ICT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2022년보다 2조4,220억원 가량 총액이 증가할 전망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SW & Solution 시장은 SaaS
올해 기업용 SW & Solution 시장은 전년대비 6.5% 성장한 6조2400억원으로 예측된다. 2022년 시장의 경우 전년보다 7.5% 성장한 5조8,600억원을 형성했다 올해 국내 기업용 SW 시장은 코로나 이후 기업들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데다, 비대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기업 내부 업무용 SW와 비즈니스 업무용 SW 도입이 활발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2021년 국내 AI(인공지능) 산업 매출액이 전년대비 32.5% 성장한 2조5,84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022년은 3조9,702억원에 달해 최근 3개년간의 평균 매출 성장률(CAGR)은 42.7% 라는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국내 AI산업 매출액은 2021년 2조6천억원, 2022년 3조9천억원으로 매년 40% 이상 고공 성장 전망 분야별로는 '인공지능 응용
KRG에 따르면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2027년까지 평균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현재 국내 IT서비스 시장규모는 14조8,900억원이다.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클라우드, AI 내재화, 디지털 프로세스 전환 등의 IT서비스 수요에 힘입어 2027년에는 18조5,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IT아웃소싱(ITO), 시스템 개발 및 통합(System Integration), 컨설팅, 교육
국내 ICT 시장을 ICT 시장을 IT(Information Technology)와 CT(Communication Technology) 등으로 구분하면 전체 39조1,910억원 시장에서 IT비중은 27조5,900억원으로 71%, CT는 11조6,010억원으로 비중은 2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참고로 가트너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ICT 시장에서 CT비중은 31.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국내 ICT 전체 시장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전세계 IT서비스 시장은 2027년까지 매년 6.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기준으로 전세계 IT서비스 시장 규모는 1조1,140억달러. 이후 2027년까지 매년 6.6%씩 성장해 오는 2027년에는 1조5,70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분야별로는 IT아웃소싱 서비스 시장이 매년 8.3%씩 성장해 2027년에 5,973억달러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