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1960년대에 국내에 컴퓨터가 도입된지 어언 60여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국내 디지털 역사 속에 가장 중요한 이벤트들 중 100가지 이슈를 골라 정리했습니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14)- '은행권의 컴퓨터 활용'

1960년대말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함께 경제 규모는 팽창일로로 접어들었다. 이에따라 금융부문이 양적으로 성장하며서 여수신 업무량이나 점포수, 은행원들이 급속하게 증가됐다. 은행 신설도 잇따랐는데 이때 설립된 은행이 외환은행, 주택은행, 신탁은행(현 서울은행) 등이다. 이렇게 신규은행 등장에 따른 경쟁이 심화되면서 은행들은 저마다 인건비 절감과 사무개선, 즉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컴퓨터 도입 계획을 세우기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13)- '컴퓨터 관련 산업 호황기'

1960년대 후반부터 컴퓨터 공급이 늘고 다양해지면서 전산 소모품과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회사들도 컴퓨터 산업의 일축을 형성했다. 대표적인 기업이 조우니비지니스와 삼양비지네스폼, 광명돗판무어(이상 전산용지) 한일카드, 데이터미디어(이상 천공카드), 유일기업, 삼애기업(이상 프린터 리본), 바스콤(마그네틱 테이프) 등이다. 경제기획원이나 생산성본부, 육군본부, 서강대, 연세대 등은 기계를 도입하면서 일정 기간분의 소모품까지 같이 구매했다. 그러다 보니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12)- '민간 소프트웨어센터의 출현'

1970년대 자생적으로 태동한 국내 IT산업은 크게 양대 축을 이루며 성장해 왔다. 하나가 외국 업체들의 국내 진출에 따른 하드웨어 판매였다면, 또 다른 축은 소프트웨어 용역이었다. 종래 오랜 관습과 구태의연한 수작업에 파묻힌 한국기업은 전통적으로 기업의 자료 공개를 꺼렸다. 또 컴퓨터에 의한 업무처리 효과를 의심쩍은 눈으로 바라본 것도 사실이다. 당시 정보화 사회라고는 하지만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11)- '반공 분위기 속 주민등록 전산화'

만 18세가 되면 발급되는 주민등록증. 13자리 번호와 지문을 통해 신분을 증명하는 주민등록증의 역사는 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내무부 경사이던 노연후씨가 미국 범죄관련 전문지 아이덴티피케이션을 우연히 접한 후 범죄감식에 대한 구상을 하게 되면서였다. 68년 노연후가 작성한 '전국민의 지문 등록에 관한 연구' 보고서는 당시 유재덕 총경의 허락을 받은 다음 내무부 치안참모회의에서 바로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10)- '정부기관들의 전산화 열풍'

1970년 경제기획원 예산국이 KIST 전산실의 CDC-3300과 터미널을 연결, 예산의 EDPS화를 시행하는 때를 전후해 각 정부기관에서는 앞다투어 컴퓨터 도입을 계획하게 된다. 행정의 효율화, 과학화라는 기치 아래 도입된 컴퓨터가 각 부서 업무에 활력소를 제공하고 행정의 현대화 과정에 긴요한 수단으로 여겨진 것이다. 경제기획원 예산국이 컴퓨터 혁명의 기수로 등장한 것은 어찌보면 아이러니한 일이었다. 보수적인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9)- '원거리 데이터 통신의 효시'

데이터 통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은 1970년 6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산업무의 EDPS를 위해 경제기획원 예산국과 KIST 전자계산실간에 이루어진 통신이 그 효시다. 당시로서는 국내 최대 용량이었던 서울 홍릉 KIST 전산실의 CDC-3300과 광화문에 위치했던 경제기획원 예산국의 배치터미널인 CDC 200 UT가 체신부의 전용선과 모뎀 장비로 접속됐던 것이다. 1970년대 초만 해도 컴퓨팅 파워는 공간적인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8)- '컴퓨터를 이용한 중학교 무시험 추첨'

대학입학 예비고사 채점 전산화는 교육행정과 컴퓨터가 불가분의 관계라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었다. 그러나 교육행정 분야에 컴퓨터가 먼저 사용된 것은 대학 예비고사보다 1년 앞서 시행된 1970년 서울시 중학교 무시험 추첨이었다. 중학교 무시험 추첨에 컴퓨터를 이용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69년부터 거론돼 왔다. 한국전자계산소가 문교부와 서울시 교육위원회에 제의한 것으로, 시행을 두고 얼마간 옥신각신했다. 그러나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7)- '컴퓨터와 한글의 접목'

외국에서 컴퓨터를 들여오는 것이 관건이던 1960년대를 지나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국내 IT산업은 본격적인 적용기를 맞게 된다. 70년대의 개막은 컴퓨터로 한글을 처리할 수 있는 라인프린터 개발 및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OCR/OMR(Optical Character/Mark Reader: 광학카드판독기)의 도입으로 시작됐다. 1970년을 전후해 KIST와 IBM코리아간에 치열하게 펼쳐진 한글 라인프린터 개발 경쟁은 컴퓨터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6)- '1960년대 사무자동화 열풍'

1960년대말 컴퓨터 도입에 도화선을 제공한 것은 사무처리 능률 향상을 위한 사무자동화였다. 일각에서 사무자동화에 편승한 컴퓨터 활용이 차츰 표면화되는 계기를 만들어 놓고 있었던 것이다. 노동력이 풍부하고 값싼 임금의 수작업이 만연해 있던 시기 일이 밀리거나 시급한 경우에는 인해전술로 해치워도 됐다. 하지만 이런 시기에 사무자동화에 눈떴다는 것은 경영 혁신이나 업무처리의 구습을 타파하는 계기가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5)- '외국 컴퓨터 회사들의 국내 시장 진출'

1960년대 후반 IBM에 이어 후지쯔와 CDC가 국내 들어오며 한국 컴퓨터사는 새로운 장을 열어 나간다. 국내 컴퓨터 역사에서 이들 외국 컴퓨터 회사들은 큰 역할을 차지한다. 컴퓨터가 원래 외국에서 들여온 제품인데다, 세계 컴퓨터역사 역시 이들 메이커의 기업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시장 지배력이 막강하기 때문이다. 경제기획원에 IBM 1401이 설치된 시기와 때를 같이하여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4)- '과학기술처 발족'

1966년에서 1967년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본격화된 시점이다. 과학기술진흥법의 모태가 된 과학기술진흥 5개년계획이 수립되는데, 이는 정부가 발표한 첫 과학기술 정책으로 기록되고 있다. 당시 경제기획원 주도로 이루어진 일련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의지는 과학기술처 발족으로 가시화됐다. 과기처 발족은 1965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의 미국 방문 시 존슨 대통령과 한미 양국 정부의 지원

한국 IT산업 역사 속 100대 이벤트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콤퓨타 산업 100대 이야기(3)- '국내 컴퓨터 원조 PCS'

국내에 첫 발을 들인 '전자계산조직 도입 1호'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경제기획원의 IBM 1401이 후지쯔의 파콤 222(FACOM 222)를 앞서 시초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1959년과 1961년에 개발된 IBM 1401과 후지쯔의 FACOM 222는 트랜지스터를 주기억장치로 사용하는 2세대 컴퓨터에 해당한다. 그러나 PCS(Punch Card System)를 단순한 통계기구가 아니라, 컴퓨터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면